(금융 용어) 헤징(Hedging) 정의 알아보기
현물가격의 변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선물이나 옵션등 파생상품을 이용하여 시장에서 현물과 반대되는 포지션을 설정하는 것이다.
헤징을 하면 현물(주가ㆍ환율ㆍ금리ㆍ금)의 가격이 오르거나 내리더라도 파생상품포지션에서 정반대의 손익이 나타나므로 어느 한쪽의 손익이 다른 쪽의 이익으로 서로 상쇄된다.
따라서 가격변동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헤징은 매입헤지(long hedge)와 매도헤지(short hedge)로 구분된다.
매입헤지는 가격상승 위험을 없애기 위해 선물을 매입하여 가격변동 위험을 줄이는 것이며, 반대로 매도헤지는 가격하락 위험을 피하기 위해 선물을 매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한 기업이 특정일에 자사 제품을 수출하고 3개월 후에 5만 달러를 받기로 했다면 3개월 후의 달러선물을 택해 5만 달러를 원화로 파는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이 같은 형태를 매도헤지라 한다.
헤징은 옵션을 이용해서도 가능하다.
현물가격의 하락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풋옵션을 매입(protective put)하거나 콜옵션을 매도(covered call)해 위험을 헤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스왑이나 구조화상품등 다양한 파생상품을 이용하여 현물가격의 변동위험을 줄일수 있는데 이런 모든 방법을 헤징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