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 용어 강하율, 침하율(sink rate) 설명 정리

항공 용어 강하율, 침하율(sink rate) 설명 정리

강하비행에서 단위시간내에 상실하는 고도, 또는 수직방향으로 잰 거리를 말한다.

비행기의 경우 목적지의 진입, 착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당히 큰 값이 바람직스럽다.

침하율은 엔진의 출력을 최소로 줄이고(플라이트 아이들까지) 기체저항을 증대시킴으로써(스피드 브레이크, 스포일러, 플랩 또는 착륙장치 등을 사용한다.) 침하속도를 빠르게 하며, 또는 기체중량을 가볍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써 강하율을 적게 할 수가 있다.

민간기 특히 수송기 등에서는 승객에 미치는 불쾌감등 때문에 기체강도면에서는 충분한 여유가 있어도 큰 침하율로서 강하할 수는 없다.

즉 객실기압의 강하율이 인간에게 미치는 쾌적성의 한계는 매분 300피트라 한다.

예컨대 비행고도 30000피트의 경우 객실압력의 내외차 8.77psi로 유지하면 객실고도는 3000피트가 되어 강하에 10분 이상을 요하게 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